찾아가서 배우기 : 전붑 김제에 위치한 '더하우스(THE House) 아침에 딸기(대표 문성욱)"씨는 ICT 융복합기술을 적용한 농장이다.
800평과 1500평 연동비닐하우스에서 딸기농사하심.
그가 배운 길:
향후 아들 세대까지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작물을 찾고자 한 것. (목표.비전)
2009년도 농업마이스터 대학과 인연을 맺은 것도 그 무렵 이다.
그는 대학에서 딸기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30년 이상 딸기농사를 지어온 선후배들과 만남을 통해 딸기에 대해 배워나간다.
그의 활동 :
그는 앞선 기술력과 첨단 시설이 향후 농사의 향배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하고 2013년도 네덜란드를 다녀와 유럽의 온실 스타일에 ICT설비를 구축한 딸기농장을 마련한다.
문성욱 마이스터는 “당시 딸기 농장시설 환경의 개선을 고민한 끝에 ICT 기술이 접목된 온실을 도입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매년 15%이상의 에너지절감과 20% 가량의 노동력 감축 효과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적 딸기 및 수출(아시아권 딸기)
그는 “현재 우리나라 딸기농법을 배우기 위해 일본 농가들이 올해만 7번 이상 농장을 찾을 정도로 우리딸기의 생산량이나 품종은 우수하다”며 “이제는 일본을 넘어 유럽과 경쟁하는 시대가 됐고 해외시장 판로 개척을 통해 경쟁력 있는 우리 딸기로 미래 먹거리를 찾아야 시점이 됐다”고 강조했다.
국내 딸기 : 품질 우수, 수출 용이함
문제점: 생산량 확대가 필요함.(유럽 국가들에게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면적당 재배할 수 있는 딸기의 숫자가 관건-지역 토지 부족하니까)
우리 딸기는 평당 22Kg의 생산량을 보이며 일본을 크게 앞질렀지만 세계 탑클래스를 자랑하는 네덜란드의 평당 생산량(약 38Kg)에 뒤지고 있다.
문제점 진찰 : 국내의 ICT 시설 구비 부족
현재 생산과정에서 자동으로 수분조절 까지 가능한 유럽과 달리 국내농가의 대부분은 아직 노동력에 기댄 열악한 시설 구축이 대부분이다.
이유 : 워낙 고가의 시설비가 투자하고 싶어서 엄두를 못내는 실정이다.
비용 문제 : 시설 개선에 따륵 막대한 비용 묵제가 해결해야할 숙제!
그가 말하는 가장 중요한 농사의 핵심
1) 기본 매뉴얼과 원칙을 지키는 것
- 가장 중요한 농사비법이다
- 이론적 지식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뛰는 전문가들과의 멘토링 사업을 통해 실제 농가의 상황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 또한 농사는 당장의 이익보다는 기본적인 원칙에 충실해야만 한다.
2) 현지인들과의 교류
- 농업선배들의 조언
- 조언을 듣고, 행동하라!!!
3) 초기비용에 대한 철저한 계획
- 4억원. 초기 비용. 투자대비 단기매출. 딸기는 소득 격차가 농가마다 크게 남. 장기간 농사를 해야하는 작물과 시작 전 이를 고려하고 철저한 계획을 세워야만 한다.
딸기 200평 기준 농가별 한해 수익이 7백에서 4천만원까지 격차가 크다.
방법 : 농업 경제 신문 http://www.thekpm.com/issuelist.php?ud=2018111822545801262()아래에서 지원가능함
사업 내용 :
사업내용은 온·습도 등의 최적환경 유지를 위한 ICT 융·복합 시설장비 및 정보시스템을 지원해준다.
환경조절과 관련된 내·외부 센서, 영상장비, 시설별 제어 및 통합제어 장비, 최적 생육환경 정보관리시스템 등을 지원해준다. 내부 센서의 경우 온도, 습도, CO2, 토양수준, 양액측정센서(양액농도 EC, 산도 PH), 수분센서(배지) 등이고, 외부 센서는 온도, 습도, 풍향/풍속, 감우, 일사량 등을 측정하는 센서다. 영상장비는 적외선카메라, 녹화장비(DVR) 등이 해당된다.
통합제어장비에는 환기, 난방, 에너지 절감시설, 차광커튼, 유동팬, 온수/난방수 조절, 모터제어, 양액기 제어, LED 등이 포함된다.
정보관리시스템에는 실시간 생장환경 모니터링 및 시설물제어, 환경 및 생육정보 DB(데이터베이스) 분석시스템 등이 지원된다.
기준 : 2017년 이었따!
배울 사람 :
http://www.ka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11
[스마트농장] 농업은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가 이끌어야 할 산업 - 한국농기계신문
문성욱 아침에딸기 대표는 “농업은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가 이끌어야할 책임”이라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팜 기자재 생산 강소기업 육성으로 국내 기업 신뢰성 확보, 고성능 제품 개발 보급 위한...
www.kamnews.co.kr
[농업마이스터를 찾아서③]“우리딸기 세계시장에 우뚝 세울 것 ”
2013년 시작된 농업마이스터 선정 제도가 벌써 3회째를 맞았다.농업마이스터는 재배품목에 대한 전문기술과 지식, 경영능력 및 소양을 갖추고 농업경영·기술교육·컨설팅을 할 수 있는 자질이 있는 농업경영인을 말한다.1회 102명과 2회 45명을 배출한 농업마이스터는 지난해 11월 새롭게 농업전문경영인 33명이 이름을 올...
www.thekpm.com
기본 원칙 : 농업 마이스터이 과정 동시에 실제 ICT 농가에서 현장체험을 하기
나의 현황 : ICT 기술 및 BX 및 콘텐츠화할 수 있음. 비전은 로컬푸드의 실현과 마을 공동체 의식을 살린 먹거리. 원래 foodtech에 관심이 많았음. 근데 부모님과 함께 귀농 및 귀촌하고자는 마음까지! 제대로 해보고 싶습니다. 앞으로 평생 제가 투자하고 생각하고 싶은 것. 딸기 품종 : pineberry등등. 또한 딸기는 가족이고 정성껏 길러야만 한다.
'엄마와 딸내미의 관심사 > 창업 및 귀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기잼에 대한 아이디어. 덴마크 딸기 맛없는데 딸기잼은 왤케 맛있어? (0) | 2019.06.19 |
---|---|
[유기농 문화센터] 4일 단기 코스 지원 7월부터 8월 (0) | 2019.06.19 |
좋다! 실패의 경험을 줄이고, 배울 수 있어! (0) | 2019.06.13 |
딸기 다하라는 묘목!여름딸기, 제과용, 모양, 생산력이 좋음 (0) | 2019.06.12 |
미세먼지에 효과적인 식물 디지고테카 (0) | 2019.06.12 |